블로그
신청하기
제 3장 시로 읽는 주역(1) 최룡관 | 2019-02-07
제 3장 시로 읽는 주역(1) 1.하늘의 무늬 ㄱ. 사나이 셋이 모여 하늘이여라 별의 산파여 구름의 산파여 바람의 산파여 구름 오줌이 대지에 넘치여 대우를 부르기도 하고 무너지는 하늘이 비명...
공유] 무의식: 프로이드의 발견과 라깡에 의한 그의 재독해 강려 | 2019-02-07
[공유] 무의식: 프로이드의 발견과 라깡에 의한 그의 재독해 출처 흐르는 물처럼|우강 무의식: 프로이드의 발견과 라깡에 의한 그의 재독해 ...
거지 황아전 / 김 춘 수 강려 | 2019-02-06
거지 황아전 김 춘 수 어릴 때 본 참빗과 나막신이 없다. 약과틀도 없다. 죽음이 주검이 되어 얼굴이 조막만하다. 살갗이 가짓빛이다. 체인 코코스는 메뉴가 화려하다. 대낮이다. 햇살이 햇살...
문학 작품의 해석 방법 강려 | 2019-02-06
문학 작품의 해석 방법 문학은 그 자체로 진공의 상태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, '작자 - 작품 - 독자'의 구도 속에서 '현실 세계'에 역동적으로 구체화되는 현상이다. 따라서, 문학의...
[공유] [[[세계 명시 모음]]] 강려 | 2019-02-05
출처 천명(天命;인생의 의미) | 영원속으로 원문 http://blog.naver.com/hanjun105300/221304113260 양치식물이 자라는 언덕 - 딜런 토마스 풀이 푸르렀던 만큼, 쾌활한 집 주변의 ...
서예작품(20)모주석: 매화를 읊노라 박문희 | 2019-02-05
卜算子·咏 梅 毛泽东 风雨送春归,飞雪迎春到。 已是悬崖百丈冰,犹有花枝俏。 俏也不争春,只把春来报。 待到山花烂漫时,她在丛中笑。 [복산자] 매화를 읊노라 모택동 빗바람 봄을 바...
제2장 구라파의 채색꽃다발… 최룡관 | 2019-02-04
제2장 구라파의 채색꽃다발… 홀드 일기 2014년 6월 4일에 14시50분에 북경에서 코펜 하겐으로 날아갔다. 11시간을 내내 태양과 함께갔다. 홀드는 유난히 신비한 곳이였다. 8일부터 거이 날마다  ...
생각 속의 여우 / T․휴즈 강려 | 2019-02-04
생각 속의 여우 T․휴즈 나는 이 한밤 순간의 숲을 상상한다. 무언가 살아 있다. 시계의 고독과 내 손가락이 움직이는 이 백지 옆에서. 창 밖엔 별 하나 보이지 않는다. 비록 어둠 속에서 깊어졌으나...
환유적으로 시 쓰기/윤석산 강려 | 2019-02-04
[공유] 환유적으로 시 쓰기/윤석산 3) 환유적으로 시쓰기 자아 이제 서정적 줄거리를 완성했으니 환유적 어법으로 시를 써보기로 할까요? 지금 쓰자면 ‘나중에 쓰지요’라고...
낭만주의에서 고답파, 상징주의로/ 민 용 태 강려 | 2019-02-04
낭만주의에서 고답파, 상징주의로 민 용 태(고려대 명예교수.스페인 왕립 한림원 위원) 1. 그리움의 미학 “산 너머 저 산 너머 어느 먼 곳에/ 행복이 산다고 사람들은 말 하네&r...
인과 관계를 비틀거나 풍경 바꾸기 강려 | 2019-02-04
인과 관계를 비틀거나 풍경 바꾸기 우리가 새롭게 느끼는 것은 그것이 새로운 것이라기보다 인식의 주체가 새롭게 받아들였기 때문입니다. 그리고, 새로운 제재들을 택하려는 것은 누구나...
초현실주의와 그로테스크를 활용한 시형식 강려 | 2019-02-04
초현실주의와 그로테스크를 활용한 시형식 -박상순 1)박상순 1961년 서울 출생.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(서양화 전공) 졸업. 91년『작가...
영미 모더니즘과 현대시에 나타난 모더니티 강려 | 2019-02-04
영미 모더니즘과 현대시에 나타난 모더니티 1. 모더니즘의 시기 * 버니지어 울프: 영국의 에드워드 왕이 사망하고 최초의 후기인상주의 전시회가 런던에서...
아리스토텔레스 『시학』줄거리 [퍼온 자료] 강려 | 2019-02-04
아리스토텔레스 『시학』줄거리 [퍼온 자료] 1. 모방에 관하여 우리의 주제는 작시술(作詩術)에 관한 것이다. 여기서는 예술 일반의 본질 뿐 아니라 그 종류와 기능에 관해, 좋은 시에 요구되는 플룻의...
현대시의 단절의식 / 강영환 강려 | 2019-02-04
현대시의 단절의식 / 강영환 反주지에서 찾을 수 있는 현대시에 있어서 의식의 특징을 스피어즈는 그의 저서 에서 현대시가 발생하는 과정에서 야기한 문제점을 '단절'이라는 ...
영시의 이미지 강려 | 2019-02-04
영시의 이미지 이 미 저 리 말이나 글에서 오직 관습적인 이미지만을(우리는 이 장에서 이미지라는 말을 비유라는 의미고 사용한다) 사용하는 것은 우...
"세계를 매혹시킨 불멸의 시인들" 중..(샤를 보들레르 /아르튀르 랭보 /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) / 이승하 지음 (4) by 타샤 강려 | 2019-02-04
출처 "세계를 매혹시킨 불멸의 시인들" 중..(샤를 보들레르 /아르튀르 랭보 /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) / 이승하 지음 (4) by 타샤 &...
내 시의 하이퍼시 구조와 창작기법 /이선 강려 | 2019-02-04
내 시의 하이퍼시 구조와 창작기법 이 선(시인) 을 요약하면 다음 11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. 각각 시를 예로 들어서 역으로 하이퍼시 쓰기 방법론을 유추하여 보고자 한다. &nb...
디카시와 하이퍼시와의 관련성 / 문덕수 강려 | 2019-02-04
디카시와 하이퍼시와의 관련성 문덕수 [1] ‘디카詩’의 창시자는 누구일까. 신(神)의 유무보다는 디카시의 창시자의 누구냐의 물음엔 한 가지 대답밖에 없으니 더 쉽습니다. 디카시...
[공유] 소쉬르와 퍼스 다시 읽기(3)-강인규 강려 | 2019-02-03
출처 존재와 사유 | 동동 원문 http://blog.naver.com/mdpsjk/20021771588 소쉬르와 퍼스 다시 읽기 (3) 2003. 1. 9. - &nbs...